Hyperloop Hub


탑승구 중심의 하이퍼루프 순환 플랫폼 선행 디자인

Gate - centric Hyperloop Circulation Platform Advance Design

속도는 경쟁사회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요소로 경제발전의 시간을 단축할 방안이다. 사람들은 예부터 속도와 안정성 등을 포함한 연구를 통해 육상에서의 궤도를 이용한 교통수단을 증기 방식, 디젤 방식, 전기 방식, 자기 부상 방식의 시대로 개발 됐으며,

가장 빠른 자기 부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자 공기가 거의 없는 아 (亞) 진공 방식의 수단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을 기반으로 한 하이퍼루프 (Hyperloop) 는 차세대 이동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근래 증가하는 항공 수요를 대체할 미래 육상 초고속 교통수단의 필요성과 교통 과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따른 실현 가능성을 바탕으로

하이퍼루프 순환 플랫폼을 선행 디자인 생각해 보았다. 기존 생활권 내에서 하이퍼루프와 같은 속도를 경험하기 쉽지 않다. 유사한 속도의 항공일 경우 승하차에 드는 시간이 많고, 배차 간격이 길어 이용하기에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하이퍼루프의 경우 빠른 속도와 함께 짧은 배치 간격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한 원활한 탑승과 하이퍼루프의 순환시스템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성하였다.

User's Expected Movement

Bording Area Section

User Scenario Journey Map


화물 운송 중심의 하이퍼루프 물류센터 허브 선행 디자인

Hyperloop Logistics Center Hub for Cargo Transportation Advance Design

1810년 덴마크 출신의 공학자 조지 메드허스트는 공압시스템과 진공 튜브를 활용해 우편을 운송하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후 런던에서 1853년 조지 메드허스트의 진공 튜브 운송 개념을 기반으로 운송시스템을 기행하였으며,

두변 도시까지 운송 체제가 도달하며 진공 튜브 운송 시스템의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진공 튜브를 이용한 운송시스템은 새로운 연료를 기반으로 한 동력 체제기 갖춰지며 교체되었다.

진공 튜브 시스템은 현재 하이퍼루프 연구로 지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시 물류 운송 부분으로 기대감과 함께 부상 하고있다. 물류체제를 도입한 하이퍼루프의 경우 주변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질 않는 장점이 있어,

매끄러운 배송이 이루어 질것이다. 또한 도심중심의 물류 체제로 인한 국가적 경제적 차이를 줄일 것이다. 하이퍼루프는 친환경에너지를 기반의 동력을 이용하기에 자연 친화적이며, 기존의 교통혼잡 문제로 인한 유해가스 연료 고갈 문제도 해결할 것이다.

하이퍼루프 기반의 물류시스템 동선

빠른속도의 하이퍼루프를 물류 시스템에서 효율성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입 출고 과정의 순환 시스템이 매끄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최적의 경로 및 시스템을 기반으로한 물류센터 허브를 구성해보았다.